보증보험 가입 이유
보증보험은 소비자가 판매자에게 지불하는 돈을 PG*사에서 예치했다가 주는 제도로 일반상품은 해당이 없는데 가구나 가전같이 금액이 크거나 설치일이 긴 상품의 경우 판매자의 먹튀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자결제(PG) 업체는 KCP, KG이니시스, 토스페이먼츠(LGU+), 올더게이트, KG모빌리언스, 나이스페이, 이지페이가 있어요.
TIP 보증보험 없이도 PG 가입 방법
위에 말한대로 설치제품이거나 금액대가 큰 상품들은 보증보험이 필요한데 일반상품(생활용품, 의류, 잡화 등)이면서 금액대가 10만원 미만인 상품들은 보증보험 없이도 PG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우선 1개의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5개 상품 등록을 합니다. 5개를 하는 이유는 5개정도 해야 된다고 하기 때문에 일반상품으로 5개를 등록합니다.
이 때 나는 PG사 연결하고 가전, 가구를 팔기위해 미리 카테고리를 만들어 놓는다면 PG사에서 확인이 들어가기 때문에 애초에 만들어 놓으면 안됩니다. 일반상품으로 등록하고 PG연결하면 됩니다.
물론 판매수량이 나오면 PG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그때는 매출이 나오니 흔쾌히 가입하면 됩니다.
회원가입하기
'아래 내용에 모두 동의함'을 클릭해주세요.
혹시 선택문항이 있을까해서 모두 동의함을 안하고 다 봤는데 모두 필수였음ㅎㅎㅎ
인증서를 등록했더니 이런게 뜨네요...
아...저는 서울보증보험에 가입했었는데 휴면이 된 상태였어요.
휴면상태 해제를 클릭하고 하라는대로 합니다.
휴면해제하고 로그인하니 오늘의 할일에 보험계약 전자서명이 나오네요.
증권번호를 클릭해서 전자서명을 진행합니다.
여러가지 입금 방법이 있습니다. 실시간 계좌이체, 무통장입금, 신용카드가 있어요.
저는 무통장입금을 선택하고 가상번호받기 클릭
이제 가상계좌로 입금하면 보증보험 가입완료!
저는 보증보험에 가입했었는데 갱신을 안해서 해지된 상태여서 다시 신규로 가입을 했습니다.
제가 갱신을 늦게한 이유는 매출이 별로 없어서 안하고 있었습니다.
갱신을 안해도 소비자가 돈을 지불할 수는 있지만 저에게 판매대금이 정산이 되지 않습니다.
정산을 꼬박꼬박 받으시려면 갱신을 제때 해주셔야합니다.
보증보험 비용은 월(月) 판매금액의 0.1%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000만원이라면 10만원정도입니다.
보증보험은 월 정산받을 최대치로 평균치를 정해 월 500만원으로 할 것인지 1000만원으로 할 것인지 설정하면 됩니다.
설정금액에 따라 보험금액이 정해지니 적게 해놓고 매출액이 늘어나면 보험금액을 늘려도 됩니다.
보증보험은 큰 조건이 없지만 보험가입이 많이 되어 있을 경우 (거래처가 많다거나 큰 금액이 물려있다)에는 연대보증인이 필요한데 이 경우에는 이미 보증보험에 많이 알고 있을거라 생각하고 신용에 문제가 없다면 조건없이 인증서만 있으면 보증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쇼핑몰이나 홈쇼핑에서 매입을 할 때 업체에 보증보험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아 미리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증보험 발급이 늦어 정산이 안되거나 입고를 못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궁금증은 서울보증보험 고객센터 1670-7000으로 문의를 하면 빠르게 알려줍니다.
해당지역에 있는 보증보험대리점에 전화하는게 더 빠르니 대표번호 말고 대리점도 이용해보세요.
감사합니다.